온라인 강좌

  • 역사지도사과정
    • - 한국사지도사과정
    • - 세계사지도사과정
    • - 한국사지도사심화
    • - 역사전문강사과정
  • 역사문화강좌
    • - 한국사 강좌
    • - 세계사 강좌

한국사지도사과정

  • 한국사 지도사 자격과정(360일)
     
    강사명 : 감돌역사 전임강사(송일근) 강좌구성 : 50강
    수강기간 : 360일 교육시간 : 37시간
    강의맛보기 :  
    교재 : 한국사 지도사 자격과정 강의 자료집 1권
    수강료 : 260,000원


    송일근 - (사)감돌역사문화연구회 교육국장 감돌역사 교육국장으로 역사 교육 콘텐츠 개발에 참여하고, 강사 교육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한겨레한국사지도사양성과정, 한겨레세계사지도사양성과정에서도 강의를 진행하고 있고, 다수 여러 사회단체에서 역사 관련 강의를 진행한 바 있습니다. 역사교사를 희망하시는 여러분에게 한국사 공부를 어떻게 하고, 교육 현장에서 한국사를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에 대한 길잡이 역할을 해주는 강좌가 될 것입니다.


     <감돌 한국사 지도사 양성과정 소개>
     
     
    1. 감돌 한국사 지도사 양성과정의 기획의도
     
    감돌 한국사 지도사 양성과정은 학생들에게 암기형 수업이 아니라
     
    탐구형 역사 수업을 제공할 수 있는 교사를 양성하고자 기획되었습니다.
     
     
     
     
    2. 감돌 한국사 지도사 양성과정의 특징
     
    ※ 감돌 한국사 지도사 양성과정은 통사 교육과 교수 방법이 융화된 강좌입니다.
     
     
    ①. 풍부한 역사적 배경지식 획득
     
       교과 내용 지식을 기반으로 우리 역사에 대한 풍부한 배경 지식을
     
       쌓을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Ǩ»ç?º°»絘ɶ5.jpg
     
     
     
    ②. 수준 높은 탐구형 역사 수업 지도 가능
     
       교사가 역사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이 스스로 역사 지식의 근거를 찾아 추론하는
     
       탐구형 수업을 지도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Ǩ»ç?º°»絘ɶ7.jpg
     
     
     
    ③. 지도 분석 수업
     
        역사적 사건을 문자로만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지도 분석을 통해
     
       시간적 · 공간적 이해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였습니다.
     

    ?Ǩ»ç?º°»絘ɶ4.jpg
     
     
     
    ④. 한국사의 보편성과 특수성 이해
     
        세계사의 보편적인 흐름 속에서 한국사의 특수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Ǩ»ç?º°»絘ɶ6.jpg

      
     


    3. 감돌 한국사 지도사 양성과정에서 지향하는 수업
     
    감돌한국사 지도사 양성과정은 감돌역사의 교육관에 따라 내용이 조직되었으며,
     
    과연 어떤 역사 수업을 해야하는지에 대한 고민에 해답이 될 것입니다.

     
     ①.역사 개념 이해 수업
     
    역사 공부의 시작은 역사 개념 이해에서 출발합니다.
     
    역사(사회) 공부를 힘들어하는 아이들은 대부분
     
    한자말이나 영어(세계사)로 된 개념어를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낱말의 뜻을 모르니 당연히 내용 이해가 안 되고,
     
    이해하지 못한 채 내용을 암기하고자 하니
     
    역사 공부가 어렵게 느껴질 수밖에 없습니다.
     
    감돌역사는 한자말의 음훈과 영어의 뜻을 분석하여
     
    개념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보여줌으로써
     
    개념어와 친숙하게 만들어 줍니다. 

     
     
    ②. 역사 지식의 변화 가능성을 열어두는 수업
     
    역사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새로운 사료 발굴로 언제든지 달라질 수 있는 학문입니다.
     
    감돌역사는 고정된 역사 지식을 주입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사료와 활동을 배치하여
     
    학생들이 역사를 새로운 사료 발굴과 해석으로
     
    언제든 바뀔 수 있는 흥미진진한 과목으로 느끼게 하여 역사에 대한 탐구심을 길러줍니다.
     
     
     
    ③. 역사 지식의 근거를 찾아 이해하는 수업
     
    감돌역사는 역사 지식을 일방적으로 전달하여 암기시키는 교육이 아니라
     
    아이들 스스로 지식의 근거를 찾아 추론하는 탐구형 수업입니다.
     
    수업의 전 과정이 절차적 사고를 통해 역사 지식을 추론해서 알아가는 방식으로 되어 있어,
     
    암기해야 했던 수많은 역사적 사실이 흐름과 맥락으로 연결되면서
     
    질서 있는 지식 체계로 재구성되는 놀라운 경험을 하게 됩니다.
     
     
     
    ④. 지도 읽기가 결합된 역사 수업
     
    역사와 지리는 서로 떼려야 뗄 수 없는 상관관계에 있습니다.
     
    아이들이 역사를 어렵게 느끼는 이유는 어디인지 알 수 없는 지명 때문에
     
    머릿속에 역사적 사건에 대한 그림이 그려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지리적 · 공간적 이해를 통해 역사를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교육을 실현합니다.
     
     
    ⑤. 세계사와 한국사가 결합된 역사 수업
     
    한국사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세계사에 대한 이해가 필수입니다.
     
    그렇다고 비슷한 시기에 일어난 사건만 기계적으로 외운다고
     
    한국사와 세계사의 관계를 이해할 수는 없습니다.
     
    감돌역사는 교재 속에 한국사와 세계사를 녹여냄으로써
     
    세계사를 배우는 과정 속에서 한국사를 구조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눈을 길러줍니다.
     
     
    감돌 한국사 지도사 양성과정을 통해 자신감을 갖춘 
     
    훌륭한 역사교사가 될 수 있습니다. 망설이지 말고 도전하세요.


    강의차수 강의명 강의시간 교재페이지
    01강 역사란 무엇인가 / 한국사의 시공간적 배경 40분
    02강 선사 시대와 고조선 이해 8분
    03강 선사 시대와 고조선 (1) <구석기 시대> 46분
    04강 선사 시대와 고조선 (2) <신석기 시대> 57분
    05강 선사 시대와 고조선 (3) <청동기 시대> 39분
    06강 선사 시대와 고조선 (4) <고조선> 57분
    07강 삼국 시대 이해 7분
    08강 삼국 시대 (1) <삼국의 건국 이야기> 47분
    09강 삼국 시대 (2) <삼국의 전성기> 33분
    10강 삼국 시대 (3) <삼국의 문화> 39분
    11강 삼국 시대 (4) <삼국의 생활 모습> 43분
    12강 남북국 시대와 후삼국 시대 이해 8분
    13강 남북국과 후삼국 시대 (1) <통일신라와 발해 건국> 53분
    14강 남북국과 후삼국 시대 (2) <통일신라와 발해 사람들> 45분
    15강 남북국과 후삼국 시대 (3) <고려의 건국(후삼국 통일)> 42분
    16강 남북국과 후삼국 시대 (4) <고려의 발전> 49분
    17강 고려 시대 이해 9분
    18강 고려 시대 (1) <고려 사람들의 생활 모습> 35분
    19강 고려 시대 (2) <고려의 대외 관계> 35분
    20강 고려 시대 (3) <무신정변과 대몽항쟁> 54분
    21강 고려 시대 (4) <고려의 문화> 46분
    22강 조선 전기 이해 7분
    23강 조선 후기 이해 10분
    24강 조선 전기 (1) <조선의 건국> 57분
    25강 조선 전기 (2) <세종의 문화융성기> 43분
    26강 조선 전기 (3) <유교 전통과 신분 질서> 46분
    27강 조선 전기 (4) <조선 전기의 생활 모습> 42분
    28강 조선 시대 중·후기 (1) <임진왜란(1592)> 80분
    29강 조선 시대 중·후기 (2) <병자호란과 북벌론> 62분
    30강 조선 시대 중·후기 (3) <영조·정조 시기의 사회 발전> 82분
    31강 조선 시대 중·후기 (4) <조선 후기의 생활 모습> 70분
    32강 조선 시대 후기 (1) <조선 후기 서민 문화의 발달 1> 52분
    33강 조선 시대 후기 (2) <조선 후기 서민 문화의 발달 2> 48분
    34강 조선 시대 후기 (3) <서양 문물과 서학의 전래> 67분
    35강 조선 시대 후기 (4) <실학의 등장과 농민 봉기> 67분
    36강 개화기 이해 8분
    37강 개화기 (1) <외세의 침략> 76분
    38강 개화기 (2) <조선의 개항> 89분
    39강 개화기 (3) <대한제국> 73분
    40강 개화기 (4) <근대 문물의 수용> 49분
    41강 일제강점기 이해 8분
    42강 일제강점기 (1) <을사조약과 반대운동> 57분
    43강 일제강점기 (2) <일제의 식민 통치> 49분
    44강 일제강점기 (3) <우리 민족의 독립 운동> 47분
    45강 일제강점기 (4) <일제의 민족 말살 정책> 40분
    46강 대한민국 이해 6분
    47강 대한민국 (1) <8·15 광복과 정부 수립> 44분
    48강 대한민국 (2) <민주화 운동> 48분
    49강 대한민국 (3) <경제 발전 과정> 37분
    50강 대한민국 (4) <인류의 평화를 위하여> 57분


    이름  
    비밀번호  
    스팸방지   스팸글 자동등록 방지를 위해 오른쪽의 숫자를 입력해 주십시오.   3294